-
애매한 재능으로 만드는 꽤 그럴듯한 성공 - 우리 주변 대부분의 남녀 직장인을 위한 책소식/우리글 2021. 8. 19. 09:40
◐ 애매한 재능으로 만드는 꽤 그럴듯한 성공
- 우리 주변 대부분의 남녀 직장인을 위한 책
[애매한 재능이 무기가 되는 순간]
사람인 설문조사 결과 직장인 10명 중 7명은 n잡을 꿈 꾸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의 시대가 온다』, 『N잡하는 허대리의 월급 독립 스쿨』, 『퇴사 말고 사이드잡』 등
최근 1년간 출판된 관련서들만 10여 종에 이릅니다.
이면에는 꿈 성취, 팍팍해진 살림살이, 사회구조 변화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적어도 이러한 흐름이 ‘부’가 아닌 ‘정’이 되어가고 있는 건 확실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세상이 변화하고 있는 게 느껴지니 ‘이러다 뒤처질지도 모른다’ 식의 네거티브한 동기가 생기고,
현재 일을 잘하고 있는 와중에도 불안함을 떨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딱히 재능(능력)이라고 할 만한 것도 없고,
그나마 있는 재능이라곤 이 사회에서 도무지 써먹을 수가 없을 하찮은 것뿐이다.
“이건 남들보다 살짝 나은 거 같긴 한데… 어디 써먹을 데도 없고, ”
신이시여, 왜 나에게 이런 쓰잘데기없는 재능을 주셨나요…
“3~5년 직장생활 하다보니 어느 정도 일 자체는 익숙해진,
하지만 언제나 마음 한쪽에선 왠지 모를 공허함이 느껴지는,
좋아하는 취미 1~2개를 갖고 있지만 ‘덕후’라고 하기엔 좀 부족한,
다양한 설렘을 경험하고 싶지만,내가 가진 것들이 너무 어중간해 도전 자체를 안 하고 있는
우리 주변 대부분의 남녀 직장인을 위한 책.”쓸모없어 보이는 능력으로 지금 당장 만들 수 있는 경제적·정신적 자유!
‘애매한 재능으로 만드는 꽤 그럴듯한 성공’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겠지만 100% 말이 됩니다.
주변의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이를 증명해내고 있습니다.
피땀 노력도, 죽을 것 같은 인내와 끈기도 그다지 필요 없습니다.
애매하고 어설픈 재능이 빛을 발하는 포인트,
그건 ‘지금은 무얼 하든 품이 덜 드는 시대’라는 것입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었던 속도로 거의 모든 것과의 연결이 가능합니다.
재능공유 플랫폼에는 구하기 힘든 희귀언어 번역가도 있고,
돈 만 원에 해충을 잡아주는 동네 주민도 있습니다.
거리뷰를 이용하면 안방에 앉아 부동산 임장, 상권 분석 등도 모두 가능합니다.
중요한 건, 이 모든 변화가 요 몇 년 사이에 급격히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노 젓는 이들은 몇 명뿐이고, 아직 이 바다는 파랗습니다.
치고 나갈 순간입니다.
지금입니다. 지금이 기회입니다!
내세울 스펙, 배경, 재능 하나 없는데…
이상한 일들이 벌어졌다!?
ㆍ 평범한 대학생이 개인여행을 한다니 대기업이 1,000만 원을 줌
ㆍ 갑자기 삼성전자 부회장, 부산시장 등 유명인사들이 인터뷰해줌
ㆍ 대학 시절 C+ 받았던 과제로 군 복무 중 특허 출원함
ㆍ 토익점수도 없는데 대기업 인턴을 거쳐 또 다른 대기업 공채 입사함무엇보다 내 애매한 재능을 ‘사람들이 궁금해할 재능’으로 변화시켜야 합니다.
그렇습니다.
이 책은 평범하고 보잘것없어 보이는 재능, 분야, 관심을
사람들이 반응하고 궁금해하는 상품 또는 콘텐츠로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아주 쉽게 그리고 강력하게 애매한 재능을 다져가는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것이 핵심입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탁월한가가 아닙니다.
얼마나 궁금하게 만들 수 있는가 입니다.
사람들이 쉽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애매함이야말로
호기심을 탄생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재료입니다.
이 책은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재능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단념하고 살아가는 이들에겐 잊고 있던 설렘을,
자신의 재능을 믿고 원하는 일을 하며 살아가지만
불확실한 미래 때문에 밤잠을 설치는 이들에겐 안정감과 확신을,
무얼 좋아하는지 몰라 방황하는 이들에겐
어떻게 원하는 일을 찾고 개발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방법을 설명합니다.
[제발 대충 하라]
대충 하는 것은 일을 시작하고 흐지부지하는 게 아니다.‘대충 하다’라는 말의 사전적인 뜻부터 그것과 상반된다.
대충 한다는 것은 ‘대강 추스르는 정도’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추스르다’라는 말은 무슨 뜻 일까? 일이나 생각을 수습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정리하고, 또 마무리 짓는다는 뜻이다.
즉, 대충 한다는 것은 무언가를 아주 가볍게 시작하고 부담 없이 완성해나가는 것이다.
책을 읽더라도 “그래, 오늘 이 책을 다 읽어보겠어!” 하고 두꺼운 책을 펼쳤다가
앞부분만 조금 보고는 “에이, 못 읽겠다.” 하고 덮는 것이 아니다.
“취미로 읽는 책인데 부담 없이 하루에 반쪽만 읽어보자.”라고 생각하고
실천해나가는 게 대충 하는 것이다.
이것도 노력인가 싶을 정도로 가볍게 진행해 완성하는 것.
그게 대충의 의미다.
그리고 대충 하는 것의 핵심은 힘을 빼는 것이다.
--- 「Part 3. 각오 없이 시작하고, 노력 없이 유지하도록」 중에서[내가 뭘 좋아하는지부터 알아내기]
우리가 찾아야 할 데이터는 무엇일까?노트를 들고 다니며 기록하고,
또 밤낮으로 고민해 지금까지의 경험들을 하나부터 열까지 나열해야 할까?
아니다. 그러면 데이터 기술 관련 책을 사서 분석법을 익혀야 할까?
그것도 아니다.
그 해답은 우리와 매일 붙어 다니는 모바일 기기 안에 들어 있다.
애매한 재능은 세상의 다양한 분야와 주제 속에서 내가 조금 더 잘 아는 것,
조금 더 관심 있는 것, 좀 더 먼저 경험한 것의 교집합이다.
그렇기 때문에 애매한 재능을 찾기 위한 로데이터는 즐겨 듣는
음악, 즐겨 보는 영화 같은 제한된 영역 안에서 축적된 데이터로 끝나서는 안 된다.
마치 포털사이트 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듯 제한성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선택하고
사용한 데이터여야 한다. 두 번째는 매일 또는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데이터여야 한다.
--- 「Part 2. 애매한 재능, 발견하고 장착하는 법」 중에서
'소식 > 우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의 기술 - 제임스 네스터 (James Nestor) (0) 2022.06.07 여성 2인 가구 생활 - MZ세대 여성들의 살고 싶은 삶 이야기 (0) 2021.09.16 마음을 봐야 하는데 자꾸 얼굴을 보게 된다고요? - 우리는 왜 얼굴에 혹할까? (0) 2021.08.06 *예쁜 쓰레기* 가 주는 소비와 수집의 즐거움. (0) 2021.06.25 *독학의 기술* -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0)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