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독학의 기술* -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소식/우리글 2021. 6. 22. 09:15

    ◐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지적 전투력을 높이는 독학의 기술

    독학이 생존기술이 된 요즘, 독학의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의 저자 야마구치 슈,

    지적 전투력을 높이는 최고의 무기 ‘독학’에 대해 말하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을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다시 학교로 돌아가 배울 수 없는 어른들을 위한 공부법이 바로 ‘독학’입니다.

     

     이 책의 저자 야마구치 슈는 경영학 학위, MBA도 없이

    세계 1위 경영·인사 컨설팅 기업 콘페리헤이그룹의 파트너 자리에 올랐습니다.

     철학과 미학미술사를 전공한 그가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컨설턴트가 될 수 있었던 방법은

    바로 ‘독학’이었습니다.

    독학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무기를 만들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삶에 필요한 무기를 만들어 지적 전투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연 어떻게 독학을 해야 할까요?

    야마구치 슈가 알려주는 독학의 기술을 알아보겠습니다.

     

     20세기적 우수성을 이제 종말을 맞이한 지금,

    지적 전투력을 높이기 위한 ‘독학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그동안 ‘우수’하다고 평가받았던 인재들이

    사회 구조와 테크놀로지의 변화에 따라 그 가치가 급격히 달라지고 있습니다.

     

    개인이나 기업에게 새로운 생각과 성공 모델을 익혀야 할 때가 된 것입니다.

    베스트셀러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의 저자 야마구치 슈는

    이때 필요한 것이 ‘독학하는 능력’이라고 말합니다.

     

    “오늘날 모든 지식은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상에 존재한다.

    우리는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글로벌 브레인’에 언제라도 접속할 수 있는 세계에 살고 있다.

    이 책의 목적은 그야말로 ‘앎’이 시대에 뒤처지는 시대에 새로운 독학의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찰스 다윈, 그레이엄 벨,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토머스 에디슨, 라이트 형제….

    이 많은 혁신가들의 공통점은 모두 독학을 했다는 것입니다.

     

     모든 분야에서 혁신을 이야기하고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기조차 힘든 지금,

    학교에서 배웠던 지식만으로 싸우는 것은 불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필요한 것은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힘이며, 그것을 스스로 익힐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독학이라고 작가는 설득합니다.

     

    전문가를 넘어 지적 혁명가로 “가치가 있는 것은 모두 독학으로 배운다!

     

    한때 ‘1만 시간의 법칙’이 유행한 적이 있습니다.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1만 시간 이상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법칙입니다.

    그런데 전문가가 되기 위한 노력에 너무 집중하다 보니 ‘전문가 신앙’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게 되었습니다.

     전문가 신앙은 조직 내에서 젊은 사람들이나 비전문가의 의견을

    ‘아마추어의 헛소리’로 일축하며 조직의 진화를 막고 있었습니다.

     역사는 ‘혁명적 아이디어를 내세우는 독학자’와 그것을 무너뜨리려고 하는

    ‘고루한 전문가’들의 싸움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의 세계는 독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다시없는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콘텐츠가 곳곳에 넘쳐나는 지금, 우리는 독학의 장점을 최대한 누릴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내가 구축한 독학의 기술을 널리 퍼뜨려 기업 안에서

    사회 변혁을 이끌어가는 많은 지적인 혁명가를 육성하고 싶다.”

     

    야마구치 슈에 따르면 지금처럼 독학이 요구되는 시대는 없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4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학교에서 배운 지식은 급속히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둘째, 지금의 구조를 근본부터 뒤집는 혁신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합니다. 셋째, 노동 기간은 길어지고 기업의 전성기는 짧아진다는 것입니다.

    넷째, 두 개의 영역을 아우르고 결합할 수 있는 지식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누구라도 간단하게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시대,

    뼈대가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지성을 익히는 무기로서의 지적 생산술.

     

     야마구치 슈는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대학원에서 미학미술사를 공부했습니다.

    이후 일본 최고의 광고회사 덴츠를 시작으로 보스턴 컨설팅 그룹을 거쳐

    콘페리 헤이그룹에서 조직개발과 인재 및 리더십 육성과 관련된 일을 하는 이색적인 경력의 소유자입니다.

    MBA를 하지 않고 외국계 컨설턴트가 된 저자는 어떻게 하면 한정된 시간 속에서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을지를 고민했고, 그 결과 자신만의 ‘독학 시스템’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 책의 4장까지는 독학 시스템이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략, 인풋, 추상화 및 구조화, 축적이라는 네 가지의 모듈을 구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줍니다.

     5장에서는 ‘지적 전투력의 향상’이라는 목적에 비추어 유용한 11개 장르에 대해

    그것들을 독학하는 의미를 생각해보고, 알맞은 추천 도서를 소개합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지식을 정말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로 바꾸는

    ‘독학’이라는 매우 실용적인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독학이 삶의 무기가 되는가’라는 제목에 끌려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저자는 지적 전투력 향상을 위해 독학을 시스템으로 바라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시스템? 무엇인가를 혼자서 공부하는 것을 독학이라고 알고 있는데 시스템이 무슨 상관일까?

     

     학교에서 배운 지식만으로는 버티기가 힘들어지는 세상입니다.

    그래서 다들 취업을 위해 학원을 다니고 자격증을 따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거겠죠

    저도 취업준비 전 단계로 가산점이 있는 자격증을 준비했었습니다.

    그 자격증이 실제로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지만 가지고 있으면 유리하다는 소리에  달려들게 됩니다.

    결국 분야별로 자격증을 취득했으나 실무에는 거의 불필요했었습니다.

    다만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이나 실무 시 입문 지식에 대한 이해에는 도움이 되었습니다.

     

    결국 필요성 없이 무분별하게 배운 만큼 어느 시점에 해당 지식은

    처음과 같이 '0'이 될 거라는 것은 짐작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사람은 인풋 된 내용의 90% 정도는 망각하게 되는 동물이니까 말입니다.

     

    신입, 경력 상관없이 동등하게 마주하고 있는 문제는

    신입은 신입이라서 사업이나 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존의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모르고

    경력은 경력이라서 새로운 것에 취약하고 서로 문제가 있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사회에서 독학은 정말 삶의 무기가 되는 걸까요?

    혼자서 하는데?

    자신 나름의 독학 시스템이 있다면 업무 팍악할 때나 공동작업 시 훨씬 더 효율적입니다. 

    결국 스스로 자신의 학업시키는 시스템이나 태도에 대한 필요성의 중요도와 생존 기술력을 강화시킨다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틀 안에서 혼자서나 가까운 주변이라도 살아남기 위해선 혁신이 필요해지는 시점입니다.

    기존의 틀을 헐어버리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내야 그나마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잘하는 것 하나에 평범하지만 다른 것도 일정 수준 할 줄 아는 준전문가 수준의 능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대로 된 독학의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