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량 불평등 어떻게 해결할까? - 김택원소식/우리글 2022. 8. 18. 11:52
식량 불평등 어떻게 해결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세계 식량 위기,
그 해법을 찾는다.오늘날 우리는 굶을 걱정을 하지 않습니다.
어디에서나 먹을 것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음식물 쓰레기는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기까지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식량 걱정을 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2050년 세계 인구는 약 10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현재 인구는 약 77억 명인데, 앞으로 30년 동안 20억 명이 더 증가하는 셈입니다.이쯤 되면 수많은 사람들을 먹여 살릴 식량 조달을 걱정해야 하지 않을까요?
하지만 100억 명에 달하는 미래 사람들에게 필요한 식량을 생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제 더 적은 노력으로
더 많은 식량을 효율적으로 생산, 공급해야 하는 숙제가 인류 앞에 놓였다고 합니다.
사실 지구촌 한편에는 비만과 음식물 낭비가 넘쳐나지만,다른 한편에서는 굶주림과 아사가 속출한다고 합니다.
솔직히, 세계에는 70억 인구의 두 배가 넘는 사람들까지 먹여 살릴 식량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구 위에 굶주림(기아)이 존재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 아닙니다.‘지속 가능한 농업’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갈 현실적인 대책은 없을까요.
이제 농업은 옛날과 같은 논 매고 밭 가는 식의 원시 형태가 아닙니다.
농업도 스마트하게 바뀐 지 오래입니다.이제는 생명공학,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로봇 등을 적용해
먹거리를 효율적으로 생산한다는 의미입니다.
그 이면에는 불필요한 에너지와 자원 낭비를 막는다는 생각이 숨어 있습니다.이 책은 현재 식량 생산 체계의 문제점을 농업 중심으로 짚어 보고
현재 진행 중인 농업의 변화는 이전의 농업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데 초점이 있습니다.
아울러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새로운 농업에는 무엇이 필요할지 대안을 살펴봄으로써,
농업의 변화가 가져다 줄 기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시사점도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류 생존의 필수요소 식량,
과거를 점검하고 미래를 예측해 봅니다.'소식 > 우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인의 월든 (부족하고 아름답게 살아가는 태도에 대하여) - 박혜윤 (0) 2023.03.07 호흡 혁명 - 음슈옌 (0) 2022.11.25 공간을 탐하다 - 임형남·노은주 (0) 2022.08.09 표준전쟁 다이아몬드부터 컨테이너까지 - 안선주 (0) 2022.08.09 덜어내고 덜 버리고 - 오한빛 (0) 2022.07.26